정혜리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정혜리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38)
    • JAVA&Spring (10)
    • JavaScript (1)
    • PHP (3)
    • DB (1)
    • 캡스톤 (7)
    • 일기 (2)
    • AWS (4)
    • Virtual machine (1)
    • Vue.js (1)
    • 리눅스 (1)

검색 레이어

정혜리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AWS

  • [AWS] Cloud Practitioner 공부_2

    2022.12.05 by 정혜리

  • [AWS] Cloud Practitioner 공부_1

    2022.11.15 by 정혜리

  • [aws lambda] 개념정리 -2

    2021.04.07 by 정혜리

  • [aws lambda] 개념정리

    2021.04.06 by 정혜리

[AWS] Cloud Practitioner 공부_2

3. 글로벌 인프라 리전 : 지리적으로 격리된 영역. 두 개 이상의 가용 영역으로 구성된다. - 리전 선택 시 유의 사항 규정준수 : 데이터 거버넌스 및 법적 요구사항 준수. 회사에서 데이터에 대한 지역 규정이 있는 경우 해당 지역의 리전 선택 근접성 : 네트워크 속도를 고려하여 고객과 더 근접한 위치의 리전을 선택하면 콘텐츠를 더욱 빠르게 제공 가능 기능 가용성 :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리전에 따라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,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전 선택 요금 : 세금과 같은 이유로 리전별 요금이 다를 수 있다 가용 영역 : 리전 내 단일 데이터센터 또는 그룹 리전의 한 부분에서 재해가 발생할 경우, 다른 가용영역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도록 각 데이터센터를 떨어트린다. 엣지 로케이션 (A..

AWS 2022. 12. 5. 14:08

[AWS] Cloud Practitioner 공부_1

클라우드 컴퓨팅 특징 1. 종량 과금제 :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며 사용한 만큼 결제한다. 2. 온디멘드 제공 : 필요한 리소스를 필요한 순간에 제공하고, 필요 없어지면 바로 반환하여 비용 지불을 중단할 수 있다. 배포모델 1. 클라우드 기반 배포 : 어플리케이션의 모든 요소를 클라우드에서 실행하는 유형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, 클라우드에 새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할 수 있다. 2. 온프레미스 배포 : 프라이빗 클라우드 배포, 모든 요소가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에 저장되어 리소스 사용률을 높임 3. 하이브리드 배포 : 클라우드 기반 리소스를 온프레미스 인프라에 연결하여 두 가지 각각의 환경에서의 이점 활용가능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(Amazon EC2) ..

AWS 2022. 11. 15. 23:08

[aws lambda] 개념정리 -2

백엔드 함수 구성백엔드 구현의 이유 - 데이터 공유 : 여러 앱 사용자가 정보 공유해 사용해야 하는 경우 - 정보 보안 : 클라이언트가 데이터에 접근 혹은 변경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 경우 - 접근 제어 : 클라이언트에서 접근가능한 컴퓨팅 자원 및 저장소 사용에 대한 통제 서버에 전체 백엔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배포하는 대신 필요한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한 여러개의 aws lambda 함수를 호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 방식이 서버리스 백엔드 단일 백엔드 : 모든 클라이언트(웹브라우저, 모바일 앱, IOT기기 등)에게 API 만 제공하여 백엔드 아키택쳐를 단순화 할 수 있다

AWS 2021. 4. 7. 00:20

[aws lambda] 개념정리

~17p Serverless (서버리스) : 서버 없이 관리형 서비스만을 이용해 코드를 배포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이를 구현하기 위해 AWS에서는 Lambda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버의 관리나 운영 없이 람다함수라는 코드만 업로드하고,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만 함수가 실행하면서 실행시간에만 과금한다 AWS Lambda 각 함수는 컨테이너에서 실행 각 컨테이너는 운영체제의 커널이 격리된 환경을 구현하는 서버 가상화 방식 물리적 서버의 가상 컨테이너 내에서 코드가 실행되지만 그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는 없다(=서버리스) 람다 함수 만들기 1. 함수 이름 지정 2. 프로그램 코드 작성 3. 실행 환경 구성 지정 - memory (함수 실행에 필요한 최대 메모리 크기) - timeout (함수가..

AWS 2021. 4. 6. 23:49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정혜리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