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고 동영상
www.youtube.com/watch?v=Z9dvM7qgN9s
깃의 작업 공간은 총 4가지가 있다
local
working directory : 프로젝트의 파일을 수정하며 작업을 진행하는 공간
staging area : 히스토리에 저장할 준비를 마친 파일을 옮겨 두는 공간
.git directory / repository : 버전의 히스토리를 가지고있는 공간
git hub
.git directory /repository : commit된 파일을 git hub와 같이 서버에 올려두는 공간
커밋 시,
- 버전정보
- 메세지
- 작성자
- 날짜/시간
정보를 함께 저장한다.
working directory를 자세히 보면 아래와 같이 나뉜다
실습
1. 깃 초기화
2. hello world! 가 저장된 txt파일 a, b, c를 만들고 상태확인
git status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
- 마스터 브랜치 위에서 작업을 하고있고
- 아직 커밋된 것은 없고
- untracked 파일들이 3개 있다
- commit할 것은 없지만 git add라는 명령어로 track 할 수 있다
3. a.txt를 git add
상태확인을 하면
commit할 준비가 되어있는 변경 사항, a.txt가 추가되었고
b, c는 아직 untrack되어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
.txt인 모든 파일을 add 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
4. a.txt 수정
a.txt가 modified되어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
여기서 a.txt를 add하면 stageing area의 a.txt와 합쳐진다
git rm --cached 라는 명령어로 workspace directory로 옮겨갈 수 있다고 알려준다
5. 모든 파일 cached
하면 다시 모든 파일이 untracked 상태로 돌아오는 것을 알 수 있다
그 외
- 깃에 추가하고 싶지 않은 파일들은 .gitignore 폴더에 모아둔다
- git diff : working directroy의 변경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
뒤에 -staged 옵션을 붙이면 staging area의 변경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
[spring] 메일 전송 구현 (0) | 2021.04.06 |
---|---|
[spring] JPQL(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) (0) | 2021.04.06 |
[IntelliJ][Git] 인텔리제이에서 깃 연동하기 (0) | 2021.02.23 |
[Git] 깃 설정하기 (0) | 2021.01.20 |
[Git] 깃 설치 (0) | 2021.01.19 |